![](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8B84B53E0D74B25)
웹페이지에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HTML언어만을 사용하기엔 클라이언트 언어이기 때문에 계산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서버언어인 JavaScript 언어를 사용하여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HTML언어로 틀부터 만들어보자.
<body>
<p>
<input type="text" id="num1" size="10" value=""> //첫번째 수
<select class="op" id="op"> //option 선택창
<option value='plus'>+</option>
<option value='sub'>-</option>
<option value='mul'>*</option>
<option value='div'>/</option></select>
<input type="text" id="num2" size="10" value=""> = <input type="text" id="num3" size="10" value="" readonly="readonly">
<input type="button" value="send" onclick="total()"> //계산 버튼
</p>
</body>
첫번째 칸과 두번째 칸에 계산할 수를 쓴 후 연산기호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send버튼을 누르면 total()함수가 호출된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JavaScript 부분을 HTML의 <head>사이에 삽입한다.
function total() //total()함수 부분
{
var num1=document.getElementById("num1"); //<body>부분에서 num1변수를 getElementById를 이용하여 값을 가져온다.
var num1s=num1.value; // num1에서 가져온 값을 num1s에 저장해주고,
var num1b=parseInt(num1s); // 계산을 하기위해 그 값을 int형으로 바꿔준다.
var num2=document.getElementById("num2"); //위 방법과 같음..
var num2s=num2.value;
var num2b=parseInt(num2s);
var num3t;
var op=document.getElementById("op"); //역시 op값을 가져오고
var ops=op.value; //값으로 저장
switch(ops) //ops의 연산기호에 따라 case를 나눈다.
{
case "plus": num3t = num1b + num2b; document.getElementById("num3").value=num3t; break;
case "sub": num3t = num1b - num2b; document.getElementById("num3").value=num3t; break;
case "mul": num3t = num1b * num2b; document.getElementById("num3").value=num3t; break;
case "div": num3t = num1b / num2b; document.getElementById("num3").value=num3t; break;
} //계산한 값을 num3t에 저장한 후, 값을 num3로 가져간다.
}
</script>
값 불러오기, int형 변환만 생각한다면 간단한 계산기는 손 쉽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