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 통신을 할 경우 사용하는 언어이다. TCP/IP는 랜카드에 세팅되어 있는데,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누구나 가지고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 속성(이더넷 속성)에 가보면 위의 사진처럼 TCP/IP가 체크된 것을 볼 수있다. 이것 때문에 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체크가 해제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


IP주소는 전세계에서 나만 가지고 있는 것이다. IP주소 2개가 충돌되면 하나는 인터넷을 쓰지 못한다. 그러나, 요즘은 같은 IP주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모든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IP주소 하나씩을 할당하기엔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은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공인되지 않은 IP주소를 사용하다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만 공인 주소를 가지고 나가는 NAT 방이나, 동일한 IP주소를 가지고 포트번호만을 바꿔 인터넷에 접속하는 PAT방식을 사용한다.



IP주소 한 자리는 0부터 255까지 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2진수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IP주소는 2진수 32개로 만들어지는데, MAC주소 처럼 2진수로 표기하면 보기도 사용하기도 어려우니 십진수로 표기한다.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알려면 cmd창에 ipconfig 명령어를 치면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매 장비가 추가 될때마다 IP 주소를 배정 하는 일은 보통이 아니다. 그래서 DHCP 서버가 나왔다. DHCP는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일을 담당하는데, DHCP 서버는 아이피 주소를 가지고 있다가 클라이언트 PC가 켜지면서 네트워크 상에 브로드캐스트를 뿌리면 자동으로 IP를 할당해준다.







반응형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스트 종류+OSI 7계층  (0) 2014.08.02
맥 어드레스(MAC Address)  (0) 2014.08.02
케이블에 대해...  (0) 2014.08.01
네트워킹의 방식-이더넷과 토큰링  (1) 2014.07.24
네트워크 개요  (1) 2014.07.14

+ Recent posts